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정어리 생태 정보 총정리 (서식지, 먹이, 습성)

by tonio 2025. 3. 26.

정어리는 우리 식탁에서 익숙한 어종이자, 해양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물고기입니다. 이 글에서는 정어리의 생태 전반을 알아보고, 그들이 주로 서식하는 지역, 어떤 먹이를 선호하는지, 그리고 독특한 생활 습성까지 총정리해보겠습니다. 정어리를 이해하면 바다 생태계에 대한 안목도 넓어집니다.

 

노량진 새벽경매장에서 발견한 정어리

정어리의 서식지 – 어디에 살고 있을까?

정어리는 전 세계의 온대 및 아열대 바다에서 광범위하게 서식합니다. 특히 태평양, 대서양, 인도양 등 큰 바다에서 떼 지어 다니며 사는 것이 특징인데요. 한국 근해, 일본 해역, 지중해와 같은 지역에서도 흔히 발견됩니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연안에서 100m 이내의 수심에서 활동하며, 해수 온도가 섭씨 10~20도인 지역을 선호합니다. 정어리는 계절에 따라 이동하는 습성을 가지는데, 이는 먹이의 분포나 번식 조건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특히 산란기에는 따뜻한 해역으로 이동하여 안전하게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을 찾습니다. 대개는 해류를 따라 떼 지어 이동하며, 이로 인해 ‘떼고기’로도 불립니다. 이들이 군집생활을 하는 이유는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먹이를 쉽게 찾기 위함입니다. 수백 마리에서 수천 마리까지 집단을 이루어 다니는 모습은 자연 다큐멘터리에서도 자주 볼 수 있는 장면이죠. 특히 정어리는 해양 포유류, 대형 어류, 해조류와도 생태적으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어리의 서식지는 단순한 위치 개념을 넘어, 다양한 해양 생물과의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복합적인 생태계 공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정어리의 먹이 – 무얼 먹고 자랄까?

정어리는 주로 동물성 플랑크톤과 식물성 플랑크톤을 먹습니다. 이들은 여과섭식자(filter feeder)로, 바닷물 속에 포함된 미세한 먹이를 아가미를 통해 걸러 먹는 방식으로 살아갑니다. 특히 디노플라젤레이트(dinoflagellate)나 규조류(diatoms) 같은 조류(藻類)는 정어리의 주요 식단을 구성합니다. 정어리는 해양 생태계의 ‘먹이 사슬 중간자’ 역할을 수행합니다. 바다의 1차 생산자인 플랑크톤을 섭취하고, 이들을 먹는 대형 어류나 해양 포유류에 다시 먹히는 구조 속에 있기 때문이죠. 이처럼 정어리는 자신보다 큰 포식자와, 더 작은 먹이 생물 사이를 연결하는 중요한 고리입니다. 재미있는 사실은 정어리의 먹이 섭취 방식입니다. 바닷물을 들이마시면서 플랑크톤을 걸러 먹는데, 이 과정에서 수백만 개의 미세 생물을 한꺼번에 섭취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정어리는 크기는 작지만 영양 섭취 능력이 뛰어난 어종으로 평가됩니다. 또한 먹이의 종류나 밀도는 정어리의 성장 속도와 번식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먹이가 풍부한 지역에서는 개체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반대로 먹이가 부족하면 집단 전체가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거나 개체 수가 급감하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따라서 정어리의 먹이 환경은 서식지 선택에도 깊은 영향을 미칩니다.

정어리의 습성 – 무리 생활과 생존 전략

정어리의 가장 대표적인 습성은 군집생활입니다. 수천 마리의 정어리가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는 모습은 그 자체로도 놀라움을 자아냅니다. 이들은 시각, 청각, 수압 감지 등을 통해 집단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며 행동을 조율합니다.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방어 집단 행동'인 셈이죠. 정어리는 또한 야행성 습성을 일부 보이기도 합니다. 낮에는 깊은 바다로 내려갔다가, 밤이 되면 수면 근처로 떠올라 먹이를 찾는 패턴을 보이기도 합니다. 이는 자연의 포식자들을 피하고, 동시에 플랑크톤이 떠오르는 시간대에 맞춰 사냥을 하기 위한 전략입니다. 산란 습성도 흥미롭습니다. 정어리는 수온이 적당해지는 봄부터 여름까지 대량 산란을 합니다. 한 마리가 수천 개의 알을 낳을 수 있으며, 알은 물 표면에 떠 있는 경우가 많아 해류를 타고 멀리 퍼집니다. 이는 넓은 해역에 자손을 퍼뜨리려는 생존 전략이기도 하죠. 또한 정어리는 짧은 생애주기를 가지고 있으며, 빠르게 성장하고 번식하는 전략을 취합니다. 이런 특성 덕분에 대량으로 어획하더라도 일정한 회복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나친 남획이나 해양 환경 변화는 개체 수 감소로 이어질 수 있어, 정어리를 포함한 먹이사슬 전체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마치며...

정어리는 단순한 식재료가 아닌, 바다 생태계를 이해하는 중요한 열쇠입니다. 서식지, 먹이, 습성 하나하나가 해양 환경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그들의 존재는 수많은 해양 생물의 생존과도 직결됩니다. 정어리에 대해 알면 알수록 바다의 생명력이 얼마나 정교하고도 아름다운지 새삼 느끼게 됩니다. 앞으로도 해양 생태계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 정어리 보호와 연구는 계속되어야 할 것입니다.